[작성자:] yonghokim
-
은별모래님: 테터툴즈 계정에 관하여
이 글은 1월 15일 작성 했으며 2월 10일 즈음에 보이도록 예약 된 글입니다. 은별모래 님이 남긴 글 http://yokim.net/tt/index.php?md=guest&act=reply&page=1&sort=&num=11&o_num=10 테터를 위한 시험계정은 2월 중순 경에 부탁드려도 될까요? 예, 지금 설명을 작성 해 두지요. 설치형 블로그는 자신이 직접 서버에다가 블로그 실행 화일을 올려서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. 테터는 설치용이지요. 제가 해드릴 수 있는 것은 현재 가지고 있는…
-
이상적인 답글 시스템
1. 답 글을 구조적으로 막아서는 안된다. 이건 편집증적인 문제다. 2. 퍼머링크는 좀 static 했으면 좋겠다. 한번 검색엔진에 일히면 다음 찾아올때도 똑같은 모양을 유지하면 트래픽 감소에 도움이 될게다. 아마, 첫 화면 index.php 경로를 통해 보이는 글은 답글을 inline, 그리고 일단 첫 화면에서 밀려나며 독립적인 (가상적이긴 하지만) 페이지로 구성되는 글은 글 자체만을 담고, 답글과 답글 화면은 프레임을…
-
투덜 투덜, 싸구려 호스팅을 구해서 서럽다..
바로님의 트래픽 초과에 대한 이야기들… ddokbaro.com/tt/index.php?pl=465 을 보고 그러는 것인데요. 도대체 서버에 얼마나 투자하시는지.. 저는 일년 6달러 (약 7천원?) 에 서버를 구입했거든요. 50 MB 용량, 트래픽은 한달 1GB 라구요. 제가 고딩때 (신용카드가 없을때) 웹 호스팅을 조금 써보았는데, 돈이 없으니 당연히 무료 계정을 찾게 되더라구요. 그 때 쓸만한게 geocities, 그리고 그 후에 무료+광고 없는 prohosting 이…
-
한족어 방명록
이메일: yokima@gmail.com 오늘부로, 변덕에 걸맞게, 테터 방명록은 문을 닫습니다. 그렇다고 지우는 것은 아니구요, 답글, 새 글을 남길수 없도록 조치해 두었습니다. 옛 테터 방명록은 여기 yokim .net/tt/index.php?md=guest 그리고 이제부터 방명록은 여기에 답글 형식으로 남겨주시길 부탁드립니다. 장식용 사진이 있습니다. 2003년 여름에 동네 곳곳을 저 두 깃발을 휘날리며, UN 이 사회주의적이라며 미국의 유엔 탈퇴를 촉구하던. 귀여운 아자씨 한…
-
옛 식으로, 이미지 몇개 가지고 멋 부리기
인터넷 관련 글은 자제하려고 했다만은.. 반년동안 영국에 가 있던 친구를 매점에서 만나다. W: 어, 안녕 용 (: 바뻐? (are you busy?) 지금 바쁘냐고, 아니면 요즘 바쁘냐고 묻는거니? 잘 모르겠어. 둘 다. 넌 항상 바빠 보이잖아. 지금도 그렇고 그게 다 내 이미지 지 모. (당황) M 만났어? 응, 지난 달에 막 도착해서 아직 정신이 없거든. (아,…
-
기왕 지울것이면 확실히 지웁시다.
n님이 j님에게 짐짓 쌈걸기를 시도한 글을 보고 하는 말입니다. 모n님은 그것을 지우셨지만 (혹은 비공개로 전환하셨지만) 그것은 제 RSS 리더기에 그대로 남아아있습니다. 중도에 대한 일갈, 잘 읽었습니다 (훗) 요즘 음반저작권법 시행 하며, DaumRSS넷등 여러 이유로 글을 지우는 분이 많이 생겨나셨습니다. 글을 제대로 지우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. 절!대!로! 글을 직접 지우시면 안됩니다. 지우는 순간, 온갖 검색엔진, 수집기, 아카이브기들은…
-
이런 것도 숙제. 역시 미술 (..)
모양과 배경의 관찰. 그리고 조화의 정/동적성. 첫 숙제. 정적 그림에는 흰 바탕에 검은색 사각형 세개를 이용함. 동적 그림에는 흰 바탕에 검은색 사각형을 이용함. 갯수 제한 없음.
-
Brunton 발음
은별모래님, 말씀하신 “Brunton 발음이 어떻게 되나요”에 대해서요 학생 두명에게 물어본 결과 브런턴이나 브런톤이 되겠슴다. 하나는 중서부 아해구요 하나는 동부 아해. 전 그것보다 “얘네들이 톤과 턴이 다르게 들리기나 하나?”가 궁금했는데… 들린다네요. 그리고 뭐 톤이나 턴이나 그게 그거고. 브론 계열도 괜찮고. 브런툰이나 브런토운이라고만 안 하면 장땡이겠슴다. 현지 발음이라 하시니 또 기억나는게 있지요. 현지 발음이란 무엇일까요? 제가 사는…
-
느림에 대한 글 두개
비슷한 시간에 올라온 글 두개 엮어주기. 리드미. 직업적 게으름 – 조금 더 느린 웹을 위하여 http://readme.or.kr/blog/archives/000531.html 달군. 느림을 찬양한다고? 지금은 한시가 급하단 말이다. http://blog.jinbo.net/dalgun/?pid=372 꼭 리드미님 글 보곤 발끈해서 쓴 것 같단 말이다… 그리고.. 지금은 찾을 수 없는, 미몹에 떴던 한 프랑스 철학자의 느림의 인식론에 대한 평가.
-
"가끔, 새로운 제품이 우리 제품과 경쟁하러 뛰어나온다구요"
저거 읽다가 마시던 물을 뿜을 뻔 했음; “Any time someone creates a new piece of software for the Windows platform, it’s great,” says Gary Schare, director of product management for Windows. “Occasionally, a new application competes with one of ours.” Josh McHugh, the FireFox explosion. wired.com/wired/archive/13.02/firefox.html?pg=2&topic=firefox&topic_set= 제보: likejazz.com/29577.html 근데, 우리 학교에는 이번에 시스템 업글하면서 불여우만…
-
위키의 위력에 새삼 놀라다.
위키.. 미디어 위키를 설치했다. ( wikipedia.sourceforge.net ) 함 써보았다. 주여 orz 너무 흥분해서 잠이 안와.. T.T 밤샐까
-
[싸움 붙이기] 저작권 주장하는 게 웃기다고? 지랄하고 있네.
저런 개새끼를 보았나 Korean Bloggers are Funny [한국 블로거들 이상하다] weblog.xfiniti.com/ceo/613 Doug Yeum | 염동훈 Xfiniti Korea , CEO (중략) I really hope all these blogggers who are talking copyright issues are not being hypocritical. I hope these people have never downloaded a MP3 file via P2P application. I hope these people have never copied…
-
UTF-8 으로 트랙백을 보내본 경험. 기록.
남한의 모든 가입형 블로그는 EUC-KR 을 쓴다. 사실 더 근본적인 문제는 EUC-KR 도 지정하지 않고 “어차피 한국 사람은 한글 보지 않나?” 하며 어벙벙 하게 웹사이트 만드는 사람도 (아직) 있긴 하다. 딴지 같은 곳에서 각각의 글에 오른쪽 클릭 -> E (ncoding) -> M(ore) -> K(orean (EUC-KR)) 을 지정하려면 손가락 운동이 열심히 된다. 그래서 UTF-8 를 쓰면…
-
Daum RSS넷 논쟁에 대한 기술적 고찰: 저작권물 내용 변형
밀피유님은 [자신의 웹컨텐츠의 사용범위에 대해 생각해보기] neoocean.net/blog/index.php?pl=649 에서 RSS 라는 새로운 배달 방식은 기존의 HTML에 기반한 웹과는 다른 차원의 것이니 저작권 보호를 다르게 해석해야 한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. 제가 해독하기론 그렇습니다. 제가 이해 한 밀피유님의 의견에 반대합니다. 반론 요약: RSS는 정보 전달의 더 효율적인 방식이지 원천적으로 다른 (저작권의 재해석을 요구하는) 방식이 아닙니다. 그리고 컨텐츠의 재가공과 변형은…
-
Wikipedia
예전에 졸업이 달린 에세이 Strategic repositioning within academia:arguing for the statement that Cultural Anthropology belongs to the humanities and not to the social sciences b.yokim.net/54/ 에서 위키피디어를 대거 (?) 인용 한 나로선 훅! 찔리는 글이네. 나름대로 권위를 주기 위해 브리태니커도 뒤져보기는 했지만, 아무래도 내가 지양하는 critical cultural studies 쪽은 브리태니커 의 인문 설명에선 코드가 안…
-
[자료] 이런 저런 자료들
이런 저런 글 모음 임지연. 미국의 민권 운동에 미친 냉전의 영향, 1945-1960 americanhistory.or.kr/19-3.pdf cynicult. 미국에서 아시아 남성의 존재는? 윌리엄 헝과 인종주의 php.chol.com/~cynicult/tt/index.php?pl=43 ㅏ 임지연. 미국의 민권 운동에 미친 냉전의 영향, 1945-1960 K. J. Am. Hist. 19 (2004), 51-77 americanhistory.or.kr/19-3.pdf *주제어(Keywords): 냉전(cold war), 민권 운동(civil rights movement), 대외 관계(foreign relations), 브라운 판결(Brown v. Board of Education),…